일간인기글
주간인기글
월간인기글

올 봄엔 배 타고 출근…잠실~마곡 한강버스 띄운다

컨텐츠 정보

본문

'수상교통' 출항 뱃고동
7개 선착장 75분 주파
출·퇴근 시간대에는 15분 간격으로 운항

한달 6만5000원이면 지하철·버스·배 탑승
bet1x2_1927466_101.jpg 한 번에 199명을 태우고 마곡~잠실을 오가는 페리 여객선인 ‘한강버스’가 올봄 취항한다.
오세훈 서울시장이 2023년 유럽 출장 중 영국 런던 템스강에서
수상 보트를 타보고 사업을 추진한 지 약 2년 만이다.
콩나물시루처럼 빽빽한 ‘지옥철’과 도로를 벗어나 배를 타고 출퇴근하는 시대가 열리는 셈이다.
주말에는 가족 단위로 나들이 나온 시민과 외국인 관광객도 배를 타고 한강 풍경을 즐길 수 있다
bet1x2_1927466_102.jpg 한강버스는 150t 규모의 쌍동선 형태로 설계됐다.
선체 두 개를 나란히 붙인 쌍동선은 물살이 세고 폭이 최대 1㎞에 달하는
한강 위에서 안정적으로 중심을 잡는다는 평가를 받는다.
배 폭은 9.5m, 길이는 35.5m다.
선체 높이는 한강 수면에서 6.1m로 한강 교각을 통과하도록 낮게 건조했다.

올해부터 선박 12대가 마곡·망원·여의도·잠원·옥수·뚝섬·잠실 7개 선착장을 오갈 예정이다.
평균 속력은 17노트(31.5㎞ /h ), 최대 속력은 20노트(37㎞ /h )다.
최고 시속으로 운항하면 서쪽 마곡에서 동쪽 잠실까지 75분 정도 걸린다.
마곡~여의도~잠실을 지나는 급행 노선은 54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.
출퇴근 시간대에는 15분 간격으로 운항하는 게 목표다.
시는 교통 수요 등을 반영해 상암, 노들섬, 반포, 서울숲을 비롯해
김포아라한강갑문, 당산 등으로 한강버스 선착장을 확대할 계획이다.

편도 요금은 3000원이다.
서울시의 무제한 대중교통 정기권 기후동행카드에 3000원을 더 내면
월 6만5000원(따릉이 미포함)에 한강버스까지 무제한으로 탈 수 있다.

이진오 서울시 한강이용증진과장은 “경기, 인천, 한국철도공사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
수도권 환승 할인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”이라고 설명했다.
한강 둔치가 강변도로 및 인도와 분리돼 있어
접근성이 떨어지는 점은 해결해야 할 과제다.
서울시는 선착장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모든 선착장 근처에 공공 자전거 따릉이를 15~30대씩 배치해 도보 이동에 드는 시간을 단축한다는 구상이다.
선박 앞뒤에는 자전거 거치대를 설치해 자전거를 들고 탑승할 수 있다.
지하철역에서 멀리 떨어진 마곡, 망원, 잠원, 잠실 선착장 주변에는 버스 노선을 신설했다.

관련자료

댓글 8
전체 7,904 / 1 페이지
번호
제목
이름
    공지
레벨 랭킹
포인트 랭킹
  • 봉봉봉
    LV.50
  • 커피한잔
    LV.50
  • 김도끼사린마
    LV.50
  • 4
    정은채
    LV.50
  • 5
    보리보리
    LV.49
  • 6
    바둑알
    LV.49
  • 7
    애빙
    LV.49
  • 8
    카츠
    LV.49
  • 9
    밍크라떼
    LV.49
  • 10
    코카콜라야
    LV.49
  • 밍크라떼
    266,626 P
  • 아찌당
    239,275 P
  • 호이짜용
    231,775 P
  • 4
    카츠
    223,448 P
  • 5
    한국촌놈
    220,355 P
  • 6
    폴카닷
    216,850 P
  • 7
    마귀전하
    185,875 P
  • 8
    파워님
    185,560 P
  • 9
    원픽김소연
    181,165 P
  • 10
    불방맹오빠
    170,975 P
알림 0